투습저항도 | 인체의 피부와 유사한 플레이트 위에 시험편을 두고 35도, 40% 환경에서 시험편을 통과하는 수분의 증발에 필요한 열량값으로 투습저항값을 측정한다. (표준) KS K ISO 11092, ISO 11092, EN 31092, ASTM F 1868 |
투습도 | 투습컵에 일정량의 흡습제를 넣고 시험편을 덮은 후 일정 온습도 환경에서의 수증기 이동량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염화칼슘법, 워터법, 아세트산포타슘법이 있다. (표준) KS K 0594, ASTM E96/E96M, ISO 15496, JIS L 1099 |
흡수속도 | 시험편에 한 방울의 물을 적하 후 흡수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적합법과 시험편 끝이 물에 닿도록 하여 일정시간 물이 상승한 높이를 측정하는 바이렉법이 있다. (표준) KS K 0642 8.26.1 A법, JIS L 1907 7.1.1, AATCC TM79, KS K 0642 8.26.1 B법, JIS L 1907 7.1.2, AATCC TM197, AATCC TM213 |
건조속도 | 시험편에 일정양의 물을 적용시킨 후 건조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표준) KS K 0642 8.25.1 A법, JIS L 1096 8.25, KS K ISO 17617, ISO 17617 |
마찰대전성 | 회전하는 원형 드럼 외부에 시험편을 부착하고 드럼의 아래쪽 부분에 표준 면 마찰포와 모 마찰포를 일정한 하중을 주어 시험편과 마찰시킨 후 (온도 20 ℃ 상대습도 40 %). 1 min이 지난 시점의 마찰대전압 값을 측정한다. (표준) KS K 0555 : B법, JIS L 1094 : B법, ISO 18080-2 |
반감기 |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형 드럼 윗부분에 시험편을 부착하고 한쪽 끝에서 고전압을 일정시간 가해준 후 반대쪽에서 시험편의 표면에 잔류 전압을 측정하게 된다. 전압의 인가가 끝난후부터 측정을 개시하여 표면잔류 전압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결과를 계산한다. (표준) KS K 0555 : A법, JIS L 1094 : A법, ISO 18080-1 |
표면저항률 | 시험편의 표면이 전극에 닿을 수 있도록 고정시킨 후 고리 모양의 원형 전극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일정한 전압을 가해 전류를 흐르게 해주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 표면의 전기저항 값을 측정한다. (표준) KS K 0170, ASTM D 257. JIS K 6911, EN 1149-1, AATCC TM76, KS M 3015 |
내수도 | 제품의 표면에 일정한 비율로 수압을 증가시켜 시료의 이면으로 물방울이 새어 나오는 시점의 압력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압력을 가하는 방식과 적용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저수압법과 고수압법이 있다. (표준) KS K ISO 811, AATCC TM127, JIS L 1092 |
발수도 | 원단의 발수도 평가에 사용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스프레이법이 주로 쓰이는데 이 방법은 노즐을 장착한 깔때기 모양의 시험장비에 증류수(250 mL)를 부어 시험편의 표면에 물이 스프레이하게 한 뒤 표준에 정해진 판정사진과 비교하여 등급을 판정하는 방식이다. (표준) KS K ISO 4920, KS M 7057, ISO 4920, AATCC TM 22, JIS L 1092 |
흡습발열 | 일반적으로 낮은 상대습도에서 높은 상대습도로의 습도 변화에 의한 텍스타일의 흡습발열성 또는 높은 상대 습도에서 낮은 상대습도로의 습도변화에 의한 방습흡열성을 평가하고 있다. 이 시험방법은 습도조절용 물질을 황산/물 혼합액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항온항습 챔버 자체로 습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표준) KS K 0589, ISO 16533 |
흡수냉감 | 표준상태에서 일정량의 증류수를 이면에 주입, 흡수하여 섬유 표면의 온도가 내려가는 특성을 평가하고 있다. 이 시험방법은 원칙적으로 냉감성능을 미처리한 대조시험편과의 하강온도 차이를 비교하여 가공제에 의한 냉감 효과성을 수치화 할 수 있으며, 대조 시험편이 없는 경우에는 섬유 자체의 하강온도만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준) 의뢰자 제시 시험법 |
접촉냉감 | 천의 열이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원단과 온도차를 둔 열원판을 원단 표면에 접촉시켜 열이동을 미분변환한 열 유속의 극대치(qmax)를 측정한다. (표준) JIS L 1927 |
공기투과도 | 표준에 따라 정해진 시험면적( 20 cm2또는 38 cm2)을 가진 공기투과도 시험기에 시험편을 장착하고 표준에 규정된 압력차(100, 125, 200 Pa)를 유지하여 일정 시간동안 시험편의 표면에서 이면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표준) KS K ISO 9237, ISO 9237, ASTM D 737 |
보온성 | 약 (35 ~ 36) ℃를 유지하는 시험판 위에 시험편을 올려놓으면 시험편을 통과하여 외부로 열이 방출되게 된다. 이 때 시험판의 온도가 내려가게 되면 자동적으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열량이 공급되게 되는데 이 공급되는 열량과 시험조건을 측정하여 결과를 계산한다. (표준) KS K 0560, KS K 0466, JIS L 1096 |
항균성 | 일반적인 항균성 평가방법으로는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 방식으로 분류된다. 정량적 시험방법은 적용범위에 따라 시료를 정량화하여 멸균 처리한 후 시험편과 대조편에 세균을 접종하고 일정 시간동안 배양하였을 때 시험편에서 균의 증식이 저해된 정도를 대조편과 비교하여 정균감소율(%) 또는 정균감소값(로그감소 수준)으로 나타내며 99.9 %에 근접 할수록 균 성장을 억제하는 정도가 크다. 정성적 시험방법은 시험편과 대조편을 한천배지에 미리 시험균으로 선을 그어 접종된 평판 배지 위에 놓고 배양시켜 시험편 주변과 밑면의 세균 발육 상태로 직물의 항균성을 평가한다. 시험편 주변의 세균 저지대 형성을 관찰하여 mm 수치로 나타낸다. (표준) KS K 0693, ISO 20743, JIS L 1902, AATCC 100, KS K 0890, AATCC 147 |
방미도 | 일반적인 곰팡이저항성 평가 방법은 곰팡이 포자를 접종하고 배양하였을 때 곰팡이가 시험편에 나타난 정도를 육안 및 현미경으로 관찰 후 각 시험방법에서 분류한 등급에 따라 표시하고 판정한다. (표준) KS J 3201, KS K 1450, ISO 846, AATCC 30, ASTM G 21 |
탈취시험 | 플라스틱 백 내부에 시험편을 넣은 상태와 시험편을 넣지 않은 상태를 준비하여, 냄새성분 화학물질을 주입한다. 지정된 접촉 시간 경과 후, 가스 검지관을 사용하여 용기 내 기체상 냄새 성분 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한다. 탈취율(%)은 시험편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의 농도로부터 계산되고, 각 화학물질은 개별적으로 시험해야 한다. (표준) FITI TM F 0003, ISO 17299-2 |
자외선 차단성능 |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자외선 파장(290 ~ 400) nm 또는 (280 ~ 400) nm 를 시험방법에 따라 시료에 조사하고 2 nm 또는 5 nm 간격으로 측정한다. 투과율의 경우 투입한 자외선의 세기와 시료를 투과한 자외선의 세기를 비교하여 측정한다. 자외선 차단지수로 표현하는 경우 시료 없이 투과된 평균 자외선에 대한 시료를 투과한 평균 자외선의 비율로 결과를 표시한다. (표준) 자외선 차단지수, 투과율 : KS K 0850, AATCC TM 183, AS 4399, BS EN 13758-1, GB/T 18830, JIS L 1925/ 자외선 차단 등급 : AS 4399 |
방염성 (45도 방화도) |
45도로 기울여진 거치대에 시험편을 장착하고, 표면에 불꽃을 접촉시킨 이후에 불꽃을 제거하고 시험편의 연소 거동을 평가한다. (표준) KS K 0586, 16 CFR 1610 |
방오성 (오염제거성능) |
방오성은 표준에서 정한 오염제거성능법을 의미하며, 시험편에 오염원(옥수수 기름)을 적용시킨 후 가정용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 후 시험편에 남아있는 잔여 오염물질 정도를 판정 표준판을 이용하여 시험편의 기름 오염 제거 성능을 평가한다. (표준) KS K 0610, AATCC 130 |
발유도 | 서로 다른 표면 장력을 가진 탄화수소 시리즈로 구성된 표준 시험액을 천의 표면에 떨어뜨린 후 흡수, 스며듦, 접촉각을 관찰한다. 천 표면에 흡수되지 않는 가장 높은 번호의 시험액 번호가 발유도 등급이 된다. (표준) KS K ISO 14419, ISO 14419, AATCC TM118 |